자료구조 tree, graph, hash table, binary search tree

2019. 2. 13. 19:20·Tech Memo


1. graph

- 노드들이 선으로 연결되어 삼각형의 형태를 띄고 있는 자료구조

- tree 구조와는 다르게 노드가 하나 이상의 in-degree, out-degree를 가질 수 있다.

- directed graph

: deree가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 E노드의 경우 in-degree 2개, out-degree 2개 로 표현한다

- undirected graph

: 방형성이 없어 E노드는 degree가 4개라고 표현한다 



2. tree 


- 구조가 나무의 뿌리 같이 생겨 트리 구조라고 불리운다

- 부모노드에서 자식노드로 갈 수 있지만 자식 노드는 부모노드로 갈 수 없다.

- 작은 graph구조라고 할 수 있다


3. binary search tree

- 정렬 알고리즘 이다

- 어떠한 기준(사진에서는 자신보다 크면 오른쪽 작으면 왼쪽)을 정해 새로운 데이터가 들어올 때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검색을 용이하게 한다


- 검색하는 방법은 BFS와 DFS가 있다


4. hash table

- hash function을 통과하면 인덱스 값이 적용됨

- 다음에 접근 할 때 인덱스 값을 이용하여 바로 접근 할 수 있다

- 인덱스 값이 겹치지 않게 회피 알고리즘도 고려해야 한다


반응형

'Tech Memo'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plexity  (0) 2019.03.20
GET / POST 의 차이  (0) 2019.02.22
자료구조 stack, queue, linked list  (0) 2019.02.13
DOM  (0) 2018.11.29
유튜브 동영상/구글지도 가져오기  (0) 2018.08.06
'Tech Memo'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omplexity
  • GET / POST 의 차이
  • 자료구조 stack, queue, linked list
  • DOM
vitnal
vitnal
4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 입니다. 이 블로그는 기록하고 싶은 내용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제되지 않은 내용이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vitnal
    vitnal 아카이브
    vitnal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54) N
      • What I Read (2)
      • AI (5) N
      • WEB (8)
      • React (21)
      • Nextjs (17)
      • JavaScript (16)
      • React Native (5)
      • Git (15)
      • Dev Tools (23)
      • Deploy (12)
      • Tech Memo (22)
      • Retrospect (7)
  •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5
vitnal
자료구조 tree, graph, hash table, binary search tree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