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lexity

2019. 3. 20. 16:26·CS
반응형

complexity(복잡도)는 가장 높은 경우로 결정한다 


CONSTANT / O(1) :

 n이 증가 되어도 시간은 항상 똑같다.

ex) 인덱스로 접근해서 처리할 경우

 LOGARITHMIC / O(log n) : 

결과를 처리하면서 시간이 줄어든다

ex) memoise, binerySerch


  LINEAR / O(n)  :

        n이 증가하면 시간도 비례해서 증가

2n 으로 증가


  QUADRATIC /  O(n^2) :

n이 증가하면 시간이 n^2으로 증가

ex) 이중 for문

 

  EXPONENTIAL O(c^n):

n이 증가하면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




참고 

https://medium.com/basecs/looking-for-the-logic-behind-logarithms-9e79d7666dda

big-o cheet sheet

반응형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tree, graph, hash table, binary search tree  (0) 2019.02.13
자료구조 stack, queue, linked list  (0) 2019.02.13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자료구조 tree, graph, hash table, binary search tree
  • 자료구조 stack, queue, linked list
vitnal
vitnal
4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 입니다. 이 블로그는 기록하고 싶은 내용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제되지 않은 내용이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vitnal
    vitnal 아카이브
    vitnal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48) N
      • AI (0)
      • WEB (76)
        • React (21)
        • Nextjs (17)
        • JavaScript (16)
        • React Native (5)
        • HTML & CSS (7)
      • CS (3)
      • Git (15)
      • Dev Tools (23)
      • Deploy (12)
      • Tech Memo (11) N
      • Retrospect (7)
  •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5
vitnal
complexity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