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란?
·
WEB
많이 듣고 많이 사용하는 개념이지만 알 것 같으면서도 모르겠는 REST에 대해 찾아 보던 중 정말 잘 설명한 영상이 있어 정리를 했습니다REST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인데 해석해 보면 대표적인 상태 전송 방법인데... 약자를 보아도 무슨 의미인지 유추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위키백과에서도 컴퓨터 간에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는 것중에 하나라는 설명이 있지만 아직 이해하기에는 부족합니다그래서 접근 방법을 바꾸어 REST가 어디서 부터 나왔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EST의 시작WEB(1991)Q : 어떻게 인터넷에서 정보를 공유할 것인가?A : 정보들을 하이퍼텍스트로 연결한다.표현 형식 : HTML식별자 : URI전송 방법 : HTTP HTTP/1.0 (1994-19..
빠르게 훑어보는 웹 개발 트렌트
·
WEB
빠르게 훑어보는 웹 개발 트렌트 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웹 개발 트렌트 1. 서버 중심으로 개발 2. 클라이언트 중심으로 개발 3. 고도화 1. 서버 중심으로 개발 - 서버랑 클라이언트랑 통신을 하지 않고 이미 만들어진 정적 페이지를 제공해서 클라이언트가 표시 - 페이지 단위로 rest - 사용자가 요청한 화면을 서버에서 페이지 단위로 생성해서 제공 - 이 당시 까지만 해도 자바스크립트가 있었지만 평가가 그리 좋지는 않았음 -> 클라이언트에 코드가 오픈이 되서 공들여서 짜지 않는 분위기 2. 클라이언트 중심으로 개발 - ajax, spring, jquery의 등장으로 자바스크립트를 더 써 볼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퍼지기 시작 - 페이지를 띄워놓고 ajax로 동적으로 처리 할 수 있지 않을까? - 아이폰, ..
component lifecycle
·
WEB/React
1. componentWillMount - 랜더링이 되기 전에 실행 - 컴포넌트가 DOM이 만들어지기 전에 실행 - v16.3 이후부터는 deprecated되었으며 UNSAFE_componentWillMount로 사용가능 2.componentDidMount - 랜더링이 된 후에 실행 - 이 안에서 다른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 연동 및 setTimeout, setInterval 및 AJAX 사용 - D3, masonry처럼 DOM을 사용해야 하는 외부 라이브러리 연동 - 해당 컴포넌트에서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요청 하기 위해 axios, fetch 등을 통하여 ajax요청이나 DOM의 속성을 읽거나 직접 변경하는 작업 3.componentWillReceiveProps(nextProps) - this.prop..
react 기초
·
WEB/React
state mapping
JSON 이란
·
WEB/JavaScript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를 만들 때 사용하는 표현식을 의미 일종의 데이터 표준 JSON.parse() 문법에 맞는 문자열을 object로 바꾸어 주는 메소드 JSON.stringify() 객체를 JSON포멧으로 변경한 문자열로 바꾸어 주는 메소드 JSON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
javascript 상속 (prototype / class)
·
WEB/JavaScript
1. prototype //생성자를 정의한다.var Human = function(name) {this.name =name;} //생성자의 prototype에 sleep이라는 함수를 할당한다.Human.prototype.sleep = function( ) { }; var steve = new Human('steve'); function에는 기본적으로 prototype에 constructor가 생성된다.__proto__는 생성된 인스턴스가 참조하고 있는 prototype을 뜻한다.Human.prototype 으로 Human의 prototype에 접근이 가능하다.Human.Prototype.constructor 는 Human이다.-> new를 사용해서 만들 경우 생성자가 어떤 함수인지를 뜻한다. var Hu..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의 차이
·
WEB
쿠키, 세션과 토큰의 차이점에 대한 정리 2022.04.19 - [Study/Web] - 쿠키, 세션(cookie, session)과 토큰 (token, JWT)의 차이점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 HTTP 프로토콜은 2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1. 비연결지향(Connectionless)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서버에 보내면, 서버는 요청에 맞는 response를 보내고 접속을 끊는다. (HTTP1.1 버전에서는 커넷견을 열어두고(연결을 유지하고) request에 재활용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2. 상태정보유지안함(Stateless) 연결을 끊는 순간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이 끝나며 상태 정보는 유지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HTTP는 사용자의 요청마다 연결과 해제를 하고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es6문법 비구조화 할당
·
WEB/JavaScript
var array = [1, 2, 3]var a = array[0];var b = array[2]; var [c, , , d] = [1, 2, 1, 3]console.log(c) // 1console.log(d) // 3 es5에서는 배열의 인덱스를 지정해서 대입을 해야 값을 넣을 수 있지만비구조화 할당을 이용하면 아래와 같이 사용해서 대입이 가능하다 var obj = { h : 'eich',i : {j : 'jay'}}; var { h, i : { j } , k } = objconsole.log( h , j , k) // 'eich', 'jay', undefined obj의 키값을 찾아서 키값 변수에 밸류 값을 할당 해준다당연히 키값의 이름이 다르거나 없으면 undefined가 할당 된다. var de..
es6 문법 const let var
·
WEB/JavaScript
1. let , const , var- let과 const는 es6에 등장하는 변수 선언 방식이다- 자바스크립트의 var는 함수 레벨 스코프 방식이어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스코프가 넓기 때문에 어디에서 어떻게 사용이 됐는지 파악이 힘들다- 그에 따라서 es6에서는 let과 const라는 블록 레벨 스코프를 따르는 변수를 제공한다 - let : var는 중복으로 선언이 가능하지만, let과 const는 중복으로 선언이 불가능 하다: let도 호이스팅이 되기는 하지만 선언만 되고 초기화(메모리에 변수할당)가 되지 않아서 블록에 let을 할당하기 전에 let변수를 사용하려고 하면 레퍼런스 에러가 뜬다.let이 호이스팅으로 선언이 되어있기 때문에 let이 실행되는 곳까지 가서 초기화가 되고 할당까지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