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을 표현 할 수 있는 문자 인코딩 방식 중 많이 쓰는 것은 EUC-KR와 UTF-8가 있습니다.
두 인코딩은 완성형 방식과 조합형 방식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EUC-KR
- ex) 안 녕 하 세 요
UTF-8
- ex) ㅇ ㅏ ㄴ ㄴ ㅕ ㅇ ㅎ ㅏ ㅅ ㅔ ㅇ ㅛ
무슨 뜻이냐하면 EUC-KR 경우에는 완성된 단어가 있어야만 표현이 됩니다. UTF-8의 경우에는 모음 자음으로 나누어져서 조합을 통해 글자가 완성되어 표현이됩니다.
이런 차이 때문에 EUC-KR의 경우 완성된 문자가 없을 경우에는 한글이 깨져 보일 수 있십니다. 요즘에는 이런 차이 때문에 UTF-8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자 인코딩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은 위키 피디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WEB >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블록(Block) 요소와 인라인(inline)요소 (0) | 2019.09.28 |
|---|---|
| viewport 속성 (0) | 2019.08.10 |
| css 공부 노트 (0) | 2019.07.09 |
| HTML 문서의 정보 (0) | 2019.05.28 |
| DOM (0) | 2018.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