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인코딩 차이점 ( EUC-KR, UTF-8)

2019. 10. 11. 22:21·WEB/HTML & CSS

한글을 표현 할 수 있는 문자 인코딩 방식 중 많이 쓰는 것은 EUC-KR와 UTF-8가 있습니다.

두 인코딩은 완성형 방식과 조합형 방식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EUC-KR

 - ex) 안 녕 하 세 요

UTF-8

 - ex) ㅇ ㅏ ㄴ ㄴ ㅕ ㅇ ㅎ ㅏ ㅅ ㅔ ㅇ ㅛ


무슨 뜻이냐하면 EUC-KR 경우에는 완성된 단어가 있어야만 표현이 됩니다. UTF-8의 경우에는 모음 자음으로 나누어져서 조합을 통해 글자가 완성되어 표현이됩니다.


이런 차이 때문에 EUC-KR의 경우 완성된 문자가 없을 경우에는 한글이 깨져 보일 수 있십니다. 요즘에는 이런 차이 때문에 UTF-8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자 인코딩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은 위키 피디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Character_encoding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WEB >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Block) 요소와 인라인(inline)요소  (0) 2019.09.28
viewport 속성  (0) 2019.08.10
css 공부 노트  (0) 2019.07.09
HTML 문서의 정보  (0) 2019.05.28
DOM  (0) 2018.11.29
'WEB/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블록(Block) 요소와 인라인(inline)요소
  • viewport 속성
  • css 공부 노트
  • HTML 문서의 정보
vitnal
vitnal
4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react를 사용하여 웹 서비스를 개발한 경험이 있습니다. github: https://github.com/jch1223
  • vitnal
    vitnal 아카이브
    vitnal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46)
      • AI (1)
      • WEB (76)
        • React (21)
        • Nextjs (17)
        • JavaScript (16)
        • React Native (5)
        • HTML & CSS (7)
      • CS (3)
      • Git (15)
      • Dev Tools (23)
      • Deploy (12)
      • Tech Memo (8)
      • Retrospect (7)
  •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5
vitnal
문자 인코딩 차이점 ( EUC-KR, UTF-8)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